1세조 | 문열공계 > 소개 > 1세조 | |||||||||||||||||
|
1세조(一世祖) 전주최씨의 옛날 사보(私譜)에는 완산백(完山伯) 문영공(文英公) 최언휘(崔彦撝)가 완산(完山)에 최초의 조상(祖上)이므로 후손들이 그를 시조(始祖)로 삼았는데, 문정공(文靖公) 목은 이색(牧隱 李穡)이 문정공(文貞公) 최재(崔宰)의 묘비(墓碑)를찬(撰)할 때, 완산백(完山伯) 최언휘(崔彦撝)를 시조(始祖)로 삼지 아니하고 좌시중 겸 상장군(左侍中兼上將軍) 완주백(完州伯) 문열공(文烈公) 최순작(崔純爵)을 중시조(中始祖 : 一世)로 삼고 말하기를 완산최씨(完山崔氏)의 보(譜)에서 가히 상고 할 수 있는 분은 상장군(上將軍)이라고 하였으니 바로 완산군(完山君) 최재(崔宰)의 6대조이다.후에 초간보(初刊譜)인 융경보(隆慶譜)를 편수(編修)한 최홍한(崔弘僩)은 그 서문에서 문영공(文英公) 최언휘(崔彦撝)를 시조로 삼지 아니한 문정공(文靖公) 이색(李穡)에 대해서 판서공(判書公) 휘 사미(思美)와 좌윤공(左尹公) 휘 덕성(德成), 평도공(平度公 휘 유경(有慶) 세 분 형제가 어찌해서, 그 이유를 묻지 아니하고, 문정공(文貞公) 휘 재(宰)의 묘명(墓銘)을 받아 들였는지 항시 마음속으로 의심하고, 궁금해 하다가 융경보(隆慶譜)를 편수(編修)하는 동안 최홍한(崔弘僩)은 중대한 문헌(文獻)을 발견하였다. 그것은, 고려전사(高麗全史)에 예종(睿宗) 3년 완주백(完州伯)의 역사를 전함에 있어서 그의 공적(功績)이 기록되어 있으나 누구의 자(子)라고 하지 않고, 다만 고려초기 평장사(平章事) 완산백(完山伯) 최언휘(崔彦撝)의 후손이란 점을 보고, 비로소 이시중(李侍中, 목은(牧隱))의 박식함과, 비문(碑文)을 남김에 있어서 남의 시조(始祖)에 대해 세대의 분명하지 않음을 보고, 후세에 혼란을 생각하여 결정을 하지 아니하고, 뚜렷하고 가장 가까운 조상을 시조로 하게 된 동기를 밝힌 것을 알고 큰 감명을 받은 나머지 이 연유를 서문에 밝혀놓았다. 이리하여 전주최씨 문열공계(文烈公系)는 좌시중 겸 상장군 완주백(左侍中兼上將軍完州伯) 최순작(崔純爵)을 1세조(중시조)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 내려오고 있다. 1세조(一世祖) 묘소(墓所) 족보서문(族譜序文) 선산기문(先山奇聞)에 시조묘(始祖墓)는 금구(金溝) 금산사(金山寺) 뒤라고 기록이 되어 있다. 지금도 그 지방 사람들은 최장군(崔將軍) 혹은 최정승 묘라고 부르고 있으며, 또한 곳은 전주 송강동구월변(松岡洞口越邊)이란 기록도 있으며, 씨족원류(氏族源流)에는 「시조이하 5세묘(始祖以下 五世墓)는 전주 서남 30리허(全州西南三十里許) 각씨촌(角氏村) 뒤」라고 기록되어 있다. 전주최씨 시조이하 5세조 묘소가 전주 부근에 있음이 확실하나 지금까지 실전(失傳)되고 있다. |